대체 불가능한 토큰, NFT가 뭐길래?

김보미 엄마기자 / 2023-03-29 09:40:32
NFT의 희소성 활용하는 시장 규모 커져
이노드림, 자산 관리와 거래 위한 NFT 플랫폼 '이노파이' 운영해
[맘스커리어=김보미 엄마기자] 2020년 비트코인 열풍은 가상화폐, 가상자산 투자에 대한 전 국민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국내 가상자산 거래 가능 인구는 700만 명, 일평균 거래액은 약 5조3000억 원에 이른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포춘비즈니스인사이트는 전 세계 블록체인 시장이 2028년까지 55.8% 급성장해 그 시장 규모가 1041억9000만 달러에 이를 것이라 전망했다.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가상자산에는 암호화폐인 비트코인과 대체 불가능 토큰인 NFT(Non-fungible Token)가 있다. 비트코인이 현실의 화폐처럼 누구에게나 통용될 수 있다면 NFT는 각각이 고유한 인식 값을 가지고 있어 원본이 하나밖에 없다. 

NFT는 복제가 쉬운 디지털 파일에 유일한 가치를 부여하는 것, 사라질 수 있는 작품을 디지털 세계에 영구적으로 보존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쉽게는 세상에 하나뿐인 원본 인증서 혹은 소장품의 개념으로 이해하면 된다. 추적이 용이해 위변조가 어렵고 부분에 대한 소유권을 인정한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미술계에서는 NFT를 활용한 투자가 이미 성행하고 있다. NFT 예술품 거래 플랫폼을 통해 한 미술작품에 여러 명이 함께 투자하고 해당 작품이 경매를 통해 수익이 나면 그 차익을 나눠갖는 방식이다. 

예술가들도 자신의 작품을 NFT 콘텐츠로 제작·발행해 그 고유성을 인정받고 수익을 창출하기도 한다. 팝 아티스트 마리킴은 2021년 NFT 미술품 경매에서 작품 'Missing and found'를 288 이더리움, 한화로 환산하면 약 6억 원에 낙찰시킨 바 있다.
     
예술가들의 작품에 NFT를 적용해 저작권을 관리할 수도 있다. 한컴위드는 지난 7일 셀바스AI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소속 작가의 저작권 관리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NFT 통합 플랫폼을 개발하는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NFT는 미술계뿐만 아니라 게임·스포츠·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로도 그 영역을 확장시키고 있다. 

22일 미국에서 열리는 '게임 개발자 콘퍼런스 2023'에 참석한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는 간담회를 통해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위믹스'로 북미 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하겠다"며 "앞으로 3~5년 내에 위믹스 메인넷에 연간 1만 개의 게임이 올라가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스포츠 및 엔터테인먼트 블록체인 기업 칠리즈도 김민재 선수를 글로벌 엠버서더로 발탁하며 지난 14일 국내 시장 진출을 알렸다. 칠리즈는 △NFT와 팬 토큰 발행 △디파이 및 P2E 게임 △스포츠 경기장 내 다양한 팬 서비스 △웹3 기반 티켓팅 및 결제 △기념품 수집 등 스포츠 및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글로벌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사진=이노파이 홈페이지]
 
이노드림은 지난해 드림프리덤·Block8과의 합작으로 주식·채권·부동산 등 금융자산을 NFT로 관리·거래하기 위한 NFT 2.0 지분화 플랫폼 'INOFi(Innovation Finance)'를 선보였다. 이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NFT를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 '마켓 플레이스'와 은행 역할을 하는 '디파이'를 접목시킨 플랫폼이다.

이노파이에서는 예술품뿐 아니라 부동산·엔터테인먼트·디지털 콘텐츠·기타 자산 등 광범위한 분야에 NFT를 적용할 수 있고 누구나 자신만의 NFT를 발행할 수 있다. 또한 이노파이 내에서는 FON 토큰으로 거래가 가능하며 플랫폼 내에서 운영하는 스테이킹 기능을 통해 예치 기간 동안 약속된 이자를 지급하는 시스템도 갖추고 있다. 

NFT는 관련된 용어 자체가 어려울 뿐 NFT의 원리와 특성만 이해한다면 누구나 제작·발행·거래할 수 있고 예치나 투자를 통해 돈을 벌 수도 있다. 

일부 부모들은 오늘 아이가 그린 그림, 소중한 순간 내가 찍은 아이 사진 등을 NFT 콘텐츠로 발행해 영구적으로 보존 및 소유하기도 한다. 조금의 관심만 있다면 누구나 뛰어들 수 있는 가상 자산, NFT 시장이 우리의 미래에 어떤 파동을 일으킬지 기대해 본다.

 

[ⓒ 맘스커리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보미 엄마기자

김보미 엄마기자

엄마의 눈으로 세상을 전합니다.

뉴스댓글 >

맘스커리어 후원안내

맘스커리어는 경력단절 없는 세상, 저출생 극복, 워라밸을 사명으로 이 땅의 '엄마'라는 이름이 최고의 스펙이 되는 세상, '엄마'라는 경력이 우대받는 세상을 만들어 가는 예비사회적기업 언론사입니다. 여러분들의 후원을 부탁드립니다.

우리은행 : 1005-004-582659

주식회사 맘스커리어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