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맘스커리어 = 윤혜숙 기자] 서울특별시 사회적 경제센터는 17일 서울 시립미술관에서 사회적 기업인과 사회적기업에 관심 있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2024 서울특별시 사회적 경제 비전 및 주요업무 추진 방향을 설명하고, 질의응답으로 사업 추진에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사업설명회에 참석한 김문수 경제사회 노동위원장은 “사회적 경제 지원센터장 취임과 함께 처음 열린 사업설명회에 참석하게 되어 뜻깊게 생각한다. 사회적 경제는 약자에게 기회를 주고자 맞추고 있고, 더 낮은 곳에서 더 빛나게 이끌어 가길 바란다”고 했다.
![]() |
▲김문수 경제사회 노동위원장[사진=윤혜숙 기자] |
서울특별시 사회적 경제센터는 2013년 은평구에 사회적 경제센터를 설치하고, 2014년 지원 조례 제정, 서울시 사회적 경제 활성화 정책 5년 성과와 과제 발표, 서울 사회적 경제 2.0비전 선포식, 서울형 사회가치 표(S-SVI) 개발, 서울신용보증재단과 MOU 체결, 서울시 미담장학회, 서강대학교 산업협력단과 공동 위탁 계약으로 2027년까지 운영할 예정으로 11년간 다양한 사업과 성과로 결과를 나타내며 운영되고 있다.
2024년 서울특별시 사회적 경제센터 비전과 업무추진 방향은 혁신과 공정성을 바탕으로 한 사회적 경제의 경쟁력 재고와 상생의 가치를 확산하는 생태계 활성화를 비전으로, “기업을 기업답게, 협동을 넘어 상생”을 목표로 하고 있다.
![]() |
▲서울특별시 사회적 경제 사업설명회[사진=윤혜숙 기자] |
서울특별시 사회적 경제센터는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사회적 경제 조직의 비즈니스 경쟁력 및 지속 가는성 제고를 목적으로 다양한 사업을 매칭, 제공, 소셜임팩트 우수기업 발굴로 사회적 경제 기업의 성장에 기여하고, 성공사례 확산 및 사회적 혁신가의 사업화 동기 부여에 강화한다는 목적을 두고 있다.
성장 지원 사업으로는 ⧍소셜임팩트 우수기업 발굴 및 육성사업 ⧍소셜임팩트 맞춤형 컨설팅 및 상담 ⧍사회적 경제 기초 및 전문교육 ⧍마을기업 육성 및 활성화 ⧍협동조합 재기 및 활성화 지원 사업 ⧍서울시 예비사회적기업 지정 멘토링 사업(신규) ⧍자치구 사회적 경제 지원센터 역량 강화 지원한다.
판로 지원 사업은 '공공판로지원·민간판로지원'으로 나누어 공공판로지원 사업은 “공공기관 협력 사업 확대와 맞춤형 강화를 통한 판로 및 매출 증대”로 공공기관의 ESG 니즈를 파악하여 ESG 사회적기업과 매칭으로 공공구매를 극대화한다는 것이다. 민간지원판로지원 사업은“사회적 경제 기업을 대상으로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제품을 구비한 사회적기업의 발굴하여 유통채널 MD들과 긴밀한 협력으로 메인 시간 팝업 광고를 노출시키는 전략이다.
서울시 사회적 경제 지원센터 장능인 대표는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사회적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을 통칭해서 사회적 경제로 일컬었는데 "그동안 일부 기업들이 폐쇄적·독점적·배타적으로 정부 지원을 취하는 바람에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사회서비스 제공 등의 선순환 고리가 비판을 초래한 것도 사실이다"며 현실적 아쉬움을 토로했다.
이어"이제는 소셜 미션을 추구하면서도 자유시장 경제를 기반으로 한 '기업다운 기업'이 나와야 하고 '협동' 자체에 과도한 의미를 두며 스스로를 가두는 것이 아니라 협동이라는 방법으로 시민과의 상생을 추구하며, 사회적 경제가 사회주의 경제가 아니라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경제인들의 집합'이 되도록 역할을 해 나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 |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수탁컨소시엄 장능인 대표 |
사회적 경제의 개념과 제도는 나라마다 다르지만 사회적 경제에 공통적인 원칙은 ⧍민주적 의사결정 ⧍사회적 목적의 추구 ⧍ 지분에 근거하지 않는 경제적 성과 배분의 원리 ⧍국가로부터 독립성을 운영원칙으로 하는 경제주체가 만드는 점이다.
![]() |
▲사회적 경제 활성화로 양극화 완화[사진=윤혜숙 기자] |
사회적 경제는 양극화 해소,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사회서비스 제공, 지역공동체 재생과 지역 순환 경제,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통합 등 공동체 구성원의 공동이익과 사회적 가치의 실현을 위해 사회적 경제조직이 호혜협력과 사회 연대를 바탕으로 사업체를 통해 수행하는 모든 경제적 활동을 일컬어 말한다.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위해 많은 기관과 조직이 활동하고 있다. 사회적 경제는 우리 사회 불평등의 문제를 풀어나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맘스커리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