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맘스커리어 = 김혜원 엄마기자] 지난 1일 인천 청라 아파트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고는 많은 사람의 간담을 서늘하게 만들었다. 국민의 불안이 커지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업계에선 다양한 정책을 마련해 전기차 사고에 대비하고 있다.
정부와 국민의힘, 그리고 대통령실은 지난 25일 열린 고위당정협의회에서 전기차 화재 방지 대책을 논의했다. 모든 소방서에 전기차 화재 진압 장비를 배치하고, 업계와 협의해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무상점검도 매년 하게 된다. 신축 건물 지하 주차장엔 화재 조기 감지와 확산 방지가 가능한 습식 스프링클러 설치 의무화도 추진된다.
전기차 업체도 빠르게 대책 마련에 나섰다. 기존 고객에게 무상으로 점검해 주는 것이다. 현대차와 기아, 그리고 수입차 업체인 벤츠코리아, BMW코리아, 렉서스코리아 등도 배터리 무상점검을 시작했다.
경기도 용인시는 전기차 충전시설이 지하에 있는 100가구 이상 아파트 19곳을 대상으로 전기·소방 안전 실태를 점검한다. 소방 분야에선 소화기와 스프링클러 등 소화설비와 자동 화재 탐지 설비의 정상 작동 여부, 전기차 화재 진화 장치인 질식 소화포 비치 여부, 격리 방화벽 설치 여부를 확인한다. 전기 분야에선 전기설비와 충전시설의 외관 상태와 접지시스템, 도전부와 대지 간의 절연저항, 충전시스템의 정상 동작 여부 등을 점검한다. 시는 점검에서 부진한 항목이 발견되면 즉시 보완하도록 현장에서 계도하거나 시정 조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전기차 안전에 대해 불안감이 커지자 서울시는 전기차 완충 금지 조치를 추진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 정보 공개도 의무화될 전망이다. 자치구에선 추석을 앞두고 차량 안전 점검을 시행하고 있다.
노원구는 지역 정비 업소와 협력해 무상 차량 정비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는 “2022년 294대, 2023년 356대가 참여할 만큼 구민의 호응이 높다”라고 전했다.
서울시 자동차전문정비사업조합인 카포스 노원구지회 소속 40여 개 업체 전문 정비사들이 재능 기부로 참여해 승용차와 소형 승합차를 점검해 준다. 점검 항목으로는 △워셔액, 냉각수, 엔진오일의 보충 △ 타이어 및 브레이크 패드 상태 점검 △에어컨, 각종 벨트류, 와이퍼, 등화장치 점검 등이다.
자동차 무상 안전점검 서비스는 9월 1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노원구청 지상 주차장에서 진행한다. 노원구민이면 누구나 무료로 점검받을 수 있다.
맘스커리어 / 김혜원 엄마기자 hwkim@momscareer.co.kr
[ⓒ 맘스커리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