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 시작... 안전한 여름나기 위해 철저히 대비해야

김혜원 엄마기자 / 2024-07-01 12:30:00
강동구, 재난예보·경보시설을 신설 보강
충북도는 풍수해 보험 가입을 독려해

[맘스커리어 = 김혜원 엄마기자] 물이 순식간에 도로와 주택가를 덮쳤고, 항공편은 줄줄이 취소됐다. 일부 지역에선 시민들이 집에서조차 안전을 보장받지 못한 채 긴급 대피에 나섰다. 전국 곳곳에 비바람이 몰아치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주말 내린 비로 전국 4개 시·도, 5개 시·군·구에서 27세대 41명이 일시 대피했고 항공기 총 12편이 취소됐다. 기상청은 이번 주엔 더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하며 철저한 대비를 당부했다.


매년 장마·태풍철에 비 피해로 인명사고가 발생한다. 집중호우 시 공사 현장이 무너지거나 건물 간판 등이 바람에 날리는 경우가 있어 근처에 가지 않는다. 침수가 발생하면 지하주차장에서 빠져 나오기 어려운 경우가 있어 주의해야 한다. 3년 전 경북 포항에선 아파트 지하주차장이 순식간에 물에 잠기면서 7명이 목숨을 잃는 참사가 벌어졌다. 폭우 속 차량을 옮기려던 주민들이 피해를 입었고, 사고는 불과 몇 분 사이에 일어났다. 이토록 짧은 시간 내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전국의 지자체에서는 본격적인 장마철을 앞두고 대비에 한창이다. 강동구는 집중호우로 인한 고립사고 예방을 위해 재난예보·경보시설을 신설 보강했다. 많은 주민이 즐겨 찾는 고덕천은 집중호우 시 하천이 급격히 불어나 고립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구는 경보 방송 사각지대를 없애고자 재난예보·경보시설을 신설 보강하고, 고덕천의 수위와 강우량을 측정해 그 값이 기준치에 도달 시 녹음 방송이 자동으로 송출되는 시스템을 설치할 계획이다.

지난 3월 구는 서울시 재난관리기금 2억여 원을 확보해 재난예보·경보시설(자동우량경보시설) 3곳과 하천 CCTV 3대를 신설했다. 오는 7월 말까지 설비가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최강윤 강동구청 치수과장은 “올여름 기습적인 폭우가 자주 예상되는 만큼 시설물 보강 및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 [사진=행정안전부]

 

충청북도는 풍수해 보험 가입을 독려하고 나섰다. 장마를 앞두고 충북지역의 보험 가입률이 저조하기 때문이다. 풍수해 보험은 국민이 예기치 못한 풍수해를 입었을 때 재산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보험료 일부를 지원해 주는 정책 보험이다. 대상 재해는 태풍, 홍수, 호우, 강풍, 풍랑, 해일, 대설, 지진, 지진해일 등 9개 자연재난이다. 가입 대상은 주택, 온실(비닐하우스 포함), 소상공인의 상가·공장이다. 시설 소유자뿐 아니라 세입자(임차인)도 가능하다. 풍수해 보험을 취급하는 보험사를 통해 가입하면 된다.

정부와 지자체에서 풍수해 보험을 알리고 있지만 모르는 국민이 많고 보험사도 수익성이 낮아 별다른 홍보를 하지 않고 있다. 도는 더 많은 도민이 풍수해 보험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가입하도록 적극적으로 홍보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자연재해가 발생하는 기간엔 TV·라디오 방송, 안내 책자 등 다양한 홍보 수단을 이용해 가입을 독려할 방침이다. 도는 도민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주택 91%, 온실 79%, 소상공인 70%의 보험료를 지원하고 있다.

도는 지난달 말 기준 도내 풍수해 보험 가입 건수는 주택 1만8727건(15.5%), 온실(ha) 509ha(46.4%), 상가·공장 4613건(40%)로 집계했다. 대상 대비 가입률은 저조한 상태다. 의무 보험이 아닌 임의 보험으로 풍수해를 입은 경험이 없거나 위험 지역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관심이 없는 것이다. 이와 함께 1년마다 보험을 갱신해야 하는 점,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점, 재난 지원금과 중복 지급되지 않는다는 점 등도 풍수해 보험 가입을 주저하는 요인이다.

도 관계자는 "풍수해 보험은 재난 피해 복구에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다"라며 "급변하는 기후 변화와 자연재해에 대한 대비책으로 가입해 달라"라고 말했다.

 

올해도 어김없이 수해가 반복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풍수해 보험은 실질적 피해 복구 수단임에도 여전히 가입률이 저조한 까닭은 무엇일까? 제도에 대한 인식 개선과 더불어 가입 문턱을 낮출 정책적 고민도 필요한 시점이다. 피해를 입고 후회하지 않으려면 사전 대비는 필수다.

 

맘스커리어 / 김혜원 엄마기자 hwkim@momscareer.co.kr 

[ⓒ 맘스커리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혜원 엄마기자

김혜원 엄마기자

많이 듣고 정성을 다해 쓰겠습니다.

뉴스댓글 >

맘스커리어 후원안내

맘스커리어는 경력단절 없는 세상, 저출생 극복, 워라밸을 사명으로 이 땅의 '엄마'라는 이름이 최고의 스펙이 되는 세상, '엄마'라는 경력이 우대받는 세상을 만들어 가는 예비사회적기업 언론사입니다. 여러분들의 후원을 부탁드립니다.

우리은행 : 1005-004-582659

주식회사 맘스커리어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