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불면증은 없다'…불면증 극복하는 2주 훈련

정지윤 큰사랑심리상담소 원장 / 2023-02-20 13:30:10
정지윤 큰사랑심리상담소 원장

▲정지윤 큰사랑심리상담소 원장
[맘스커리어=정지윤 큰사랑심리상담소 원장] 많은 사람들이 밤낮이 바뀔 때 불면증으로 인한 우울감이나 피로감으로 힘들어한다. 불면증은 밤과 낮의 패턴이 생리적으로 바뀌면서 오는 증상이다. 지금부터 밤낮이 바뀌면 안 되는 이유와 램 수면이 지속될 때 우리 몸에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 알아보자.

 

우리 몸에는 “서캔디언 리듬”이라고 하는 태어날 때부터 우리 몸에 새겨진 생체시계가 있다. 이 생체시계에 따라 낮에는 교감신경이 활성화되어 활동을 하게 되고 밤에는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어 잠이 들게 된다. 생체시계에 깊이 관여하는 게 햇볕인데, 햇볕을 쬐면 뇌에서 세로토닌이 분비되어 일상생활에 활력을 주고 어두울 때는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해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 그런데 올빼미처럼 밤낮이 바뀐 생활을 계속하면 호르몬 분비에 리듬이 깨져 우리 몸의 생체 리듬이 엉망이 되면서 건강도 나빠지고 기분도 다운된다. 

 

낮 시간에 우울감과 불안감으로 피곤한 하루를 보내지만 밤에 깊은 수면에 들지 못하는 악순환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밤과 낮이 바뀐 생활을 하고 있다면, 서캔디언 리듬을 되찾기 위한 방법을 시도해 보기 바란다. 

 

해외여행을 갔을 때 시차 적응을 위한 몸의 생체리듬을 가정하여 밤 11시부터 새벽 4시까지는 무조건 눈을 감고 있는 훈련을 2주 동안 지속하면 점차 몸의 시차가 적응되어 갈 것이다. 우리는 환경의 동물이기에 어떤 환경이든 약 2주 정도 노력한다면 가능해진다. 불면증은 올바른 방법으로 꾸준히 실천하면 나을 수 있다. 

 

만일 사람이 오랜 시간 잠을 안 자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중요한 사례를 소개해 보겠다. 1964년 미국의 한 고등학생인 17세의 랜디 가드너는 잠을 안 자는 '수면 중단' 세계 기록에 도전했다. 수면 중단 세계 기록 260시간을 깨기 위해 12월 28일 아침부터 1월 8일 아침까지 약이나 커피를 먹지 않고 정신력으로만 버티어 264시간이라는 세계 기록을 세웠다. 

 

수면 중단 도전을 할 때 수면학의 저명한 과학자 미국 스텐퍼드 대학의 윌리엄 디멘드 박사가 입회했다. 랜디 가드너의 11일 동안의 수면 중단 기간 중 몸과 마음에는 여러 가지 불규칙하고 다양한 이상 반응들이 나타났다. 처음 3일 정도는 너무 피곤하고 눈의 초점이 일정하지 않았고, 4일째부터는 걸핏하면 화를 내는 감정 기복이 생겼으며 집중력과 기억력이 떨어지고 도로 표지가 사람으로 보이는 환각과 백일몽(낮에 눈을 뜬 상태에서 짧게 꿈을 꾸는 현상) 증상도 보였다. 6일째는 근육을 마음대로 사용하지 못했고 11일째는 말을 제대로 못하여 주변 사람들이 알아듣지 못할 정도로 문장을 구사하는 언어능력이 떨어졌다고 한다. 

 

이런 수면 중단 실험은 위험천만한 행위로 뇌에 장애가 일어난 사례도 있다. 수면을 하는 동안 몸에서는 뇌세포 재생과 면역력을 증가시켜 몸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건강한 몸과 정신을 만들기 위해 충분한 수면은 물과 공기처럼 소중한 것이다. 

 

[ⓒ 맘스커리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지윤 큰사랑심리상담소 원장

정지윤 큰사랑심리상담소 원장

경력보유여성을 위한 언론, 커리어+, 출산육아경제, 사회/문화, K클래스, 기획특집, 오피니언 기사제공

뉴스댓글 >

맘스커리어 후원안내

맘스커리어는 경력단절 없는 세상, 저출생 극복, 워라밸을 사명으로 이 땅의 '엄마'라는 이름이 최고의 스펙이 되는 세상, '엄마'라는 경력이 우대받는 세상을 만들어 가는 예비사회적기업 언론사입니다. 여러분들의 후원을 부탁드립니다.

우리은행 : 1005-004-582659

주식회사 맘스커리어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