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 “정부 지원 더 필요해”
[맘스커리어 = 김혜원 엄마기자] 농촌으로 유학을 하러 가는 도시 아이가 늘고 있다. 지난 2021년 1학기에 서울시교육청과 전남교육청이 처음으로 시작한 농촌유학 프로그램은 전북, 강원으로 확대됐다. 충청남도·인천시교육청도 농촌유학 시범 사업을 시작했다.
현재까지 몇 명이나 농촌유학 프로그램에 참여했을까? 2021년 첫 학기 81명으로 시작해 해마다 참여 학생 수가 늘어나 올해 1학기엔 302명으로 4배가량 늘어났다. 교육청에 따르면 현재까지 학생 1499명이 참가했다고 한다. 농촌 유학은 아이가 농산어촌 지역의 학교로 전학 가 6개월 이상 지내야 한다. ‘가족체류형’ ‘홈스테이형’ ‘유학센터형’ 등 거주 유형에 따라 나뉘는데 가족 전체 혹은 일부가 마을로 이주하는 ‘가족체류형’을 대개 선택한다고.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지원할 수 있으며 매달 30~60만 원의 체류비를 서울과 유학 지역 교육청에서 지원한다. 이런 농촌 유학은 지방 소멸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정부는 지난 18일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인구감소지역 규제특례 확대 방안’으로 ‘도시지역 학생 농촌유학 활성화’를 발표했다.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을 개정해 소멸위기 지역의 규제를 완화하는 것이다. 이로써 해당 지역 읍면에만 거주하는 대신 인접한 읍면에 살아도 농촌학교에 다닐 수 있게 된다.
행안부의 정책 발표에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22일 입장문을 내고 환영의 뜻을 표했다. 이어 세 가지의 추가 지원도 요청했다. 시 교육청은 농촌지역에 농촌유학생 거주시설을 확보해 달라고 요청했다. 또 현재 교육청에서 지원하는 유학생 지원금을 국가 차원의 예산에서 받을 수 있도록 예산 검토를 요청했다. 농촌유학 후 도시로 복귀한 학생을 위해 후속 교류 프로그램도 마련해 달라고 했다. 이들이 도시에 돌아와도 지역과 교류할 수 있게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시교육청은 "농촌유학은 '2개의 지역 정체성'을 갖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관련 부처 장관 및 대통령 소속 농어업·농어촌 특별위원회장, 지방시대위원회장을 만나 농촌유학 활성화 방안을 긴밀하게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 [사진=서울시교육청] |
한편 지난 6월 13일부터 21일까지 시교육청은 2024학년도 2학기 농촌유학 신규 참여 학생을 모집했다. 농촌유학에 관심 있는 학생과 학부모는 서울시교육청 유튜브채널 서울시교육청TV를 참조하면 된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농촌유학 참여를 통해 서울 학생이 산과 들, 물, 바다가 있는 자연친화적 환경 속에서 생태감수성을 갖게 될 것”이라며 “서울시교육청의 비전인 ‘다양성이 꽃피는 공존의 교육’을 실현하는 농촌유학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맘스커리어 / 김혜원 엄마기자 hwkim@momscareer.co.kr
[ⓒ 맘스커리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