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픈 연말, 가족과 읽기 좋은 책 4

김혜원 엄마기자 / 2024-12-31 14:10:15
서천석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 "TV 뉴스를 꺼야 한다" 강조해

[맘스커리어 = 김혜원 엄마기자] 무안 국제공항에서 일어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대한민국 전체가 큰 슬픔에 빠졌다. 정부는 지난 29일부터 내년 1월 4일까지 7일간을 ‘국가애도기간’으로 선포했다. 무안공항 현장과 전남·광주·서울·세종 등 17개 시·도엔 합동 분향소가 마련됐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엔 많은 이가 추모 이미지와 애도의 글을 남기며 안타까움을 표현하고 있다. 지상파 방송사도 연말 주요 행사인 시상식을 취소하거나 녹화 방송으로 대체하기로 했다. 예능 프로그램이나 드라마 편성을 취소하고 뉴스 특보를 보도하고 있다. TV 뉴스나 유튜브 등에서 어린아이들도 사고 소식을 접할 수밖에 없다. “엄마, 비행기에서 불이 나요” “아빠 저 사고 진짜예요?” 하고 묻기도 하고 “그럼 죽은 사람도 있어요?” “비행기 타면 위험해요?” 하며 불안해하기도 한다. 부모는 이럴 때 뭐라 대답해야 할지 난처하다.


지난 29일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 서천석 행복한아이연구소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뉴스는 유아 및 초등 저학년 아이들, 특히 평소 예민하고 불안이 높은 아이에게는 노출하지 않는 것이 좋다”라고 조언했다. 서 소장은 “TV 뉴스를 꺼야 한다”라고 강조하며 “슬픔과 애도를 함께하는 것과 반복적 정보 노출은 아무 관련이 없다”라고 덧붙였다. 서천석 소장은 “아이가 물으면 회피하지 않고 간단하게 정보를 제공하고 극히 드물지만 슬픈 일이 일어났다고 그분들이 좋은 곳에 가시길 기도하자”라며 “아이 눈을 보고 손을 잡으며 말하라”라고 전했다.


이렇듯 슬픈 연말을 집에서 조촐하게 보낸다면 책을 읽어 보면 어떨까. 자녀와 같은 책을 읽으며 대화를 나눠 봐도 좋고, 부부가 함께 읽은 뒤 감상을 나눠도 좋을 것이다.
 

▲ [사진=문학과지성사]

 

 

<잘 헤어졌어> 김양미 글, 김효은 그림, 문학과지성사

<잘 헤어졌어> 이 동화집엔 단편 동화 다섯 편이 실려 있다. 각 이야기의 주인공은 모두 누군가와 헤어졌다. 가족, 친구뿐만 아니라 물건일지라도 정든 인연과 헤어짐엔 시간이 필요하다. 아이들은 갑작스레 관계가 변한 걸 받아들이기 어려워하거나 이별을 맞이한 사실에 가슴 아파한다. 오래 슬픔에만 잠겨 있을 것 같던 아이들은 헤어짐을 받아들이고 한 뼘 더 자란 모습을 보여준다. 새로운 만남을 받아들이기도 한다. 헤어짐을 겪은 뒤 지금 현재의 모습을 받아들이는 다섯 이야기를 통해 이별이 꼭 부정적이거나 슬픈 것만은 아니라는 걸 알게 된다.

 

▲ [사진=연합뉴스]

 

<이끼와 함께>, 로빈 월 키머러 글, 하인해 옮김, 눌와

얼마 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가 아버지 한승원 작가에게 선물한 책이 화제였다. 북미 원주민 출신 식물학자가 이끼의 생태를 관찰하며 얻은 깨달음이 담긴 책이다. 한승원 작가는 “이끼와 풀의 이야기를 문학적으로 담아내 재밌게 읽었다”라고 소감을 전하기도 했다. 이끼는 쉽게 눈에 띄지도, 꽃을 피우지도 않는다. 그런 덕분에 척박한 환경을 견딜 뿐 아니라 다른 생명이 살 터전이 된다. 뿌리와 관다발 조직이 없어 높이 자랄 수 없지만 표면에 납작 붙어 습기가 약간만 있어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덕에 이끼는 물이 없어도 있어도 쑥쑥 자랄 수 있다. 이렇듯 이끼는 유연하게 주변 환경에 적응해 번성하며 곳곳을 채운다. 이 책을 통해 무심히 지나친 이끼가 매력적이고 심지어 삶의 깨달음까지 주는 존재임을 알 수 있다. 

 

▲ [사진=세종출판사]

 

<분노는 어떻게 삶의 에너지가 되는가>, 황미구, 세종

화가 나는 일이 많은 요즘이다. 뉴스를 보면 감정을 다스리기가 좀처럼 쉽지 않다. 분노는 왜 일어나는 것일까? 저자는 “분노는 정상적인 감정이며 때로 파괴적이지만 분명 정의롭다”라고 말한다. 이는 지금 내 맘에 들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는 신호를 보내 주는 유용한 정보다. 다만 정확한 문제가 무엇인지 알려 주지 않기에 그 원인을 잘 파악해 보아야 한다. 저자인 상담심리전문는 분노의 특성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분노가 초래하는 사회적인 문제를 살펴보고, 유형별 분노와 대처법도 살펴본다. 일상생활에서 활용할 분노 관리법도 제시한다.

 

맘스커리어 / 김혜원 엄마기자 hwkim@momscareer.co.kr 

[ⓒ 맘스커리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혜원 엄마기자

김혜원 엄마기자

많이 듣고 정성을 다해 쓰겠습니다.

뉴스댓글 >

맘스커리어 후원안내

맘스커리어는 경력단절 없는 세상, 저출생 극복, 워라밸을 사명으로 이 땅의 '엄마'라는 이름이 최고의 스펙이 되는 세상, '엄마'라는 경력이 우대받는 세상을 만들어 가는 예비사회적기업 언론사입니다. 여러분들의 후원을 부탁드립니다.

우리은행 : 1005-004-582659

주식회사 맘스커리어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