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지윤 큰사랑심리상담소 원장 |
'피곤하다 피곤해'. 피로함은 현대인들이 가장 많이 호소하는 건강 문제 중 하나입니다. 쉽게 풀리지 않고 오랜 기간 지속되는 피로감은 만성피로 증후군이라는 질병으로 분류될 만큼 우리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가벼운 피로감은 일시적인 과로나 스트레스로 인해 기운이 없거나 졸음이 쏟아지는 등의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그런데 충분히 신체적인 휴식을 충분히 취하는 데도 불구하고 피로가 풀리지 않고 계속 피곤하다면 그것은 이 피로감이 대체 무엇 때문인지 생각해 봐야 합니다.
우리는 흔히 오랫동안 좋아하는 운동을 한다거나 게임을 할 때처럼 무언가에 꽂혀 흥미를 느낄 때는 오랜 시간 일에 몰입하는 것이 어렵지 않습니다. 이렇듯 꽤 장시간 몸과 정신을 움직임에도 피로감이 별로 느껴지지 않기 때문에, 딱히 휴식을 취해야 한다는 생각조차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는 피로한 상태지만 피로감을 못 느끼는 것이죠.
반대로 비슷하게 뭔가 정신을 움직여서 집중력을 발휘하는 일에는 긍정적인 감정보다 부정적인 감정이 뒤따라 우리가 느끼는 피로감은 한층 가중됩니다. 우리가 느끼는 피로감은 신체는 물론 뇌가 불쾌하거나 혹사당한다는 느낌이 지속되는 데서 나타납니다. 그리고 이렇게 뇌의 피로가 풀리지 않은 채 계속해서 뇌가 혹사당할 때 몸은 쉬어도 피곤하다는 느낌을 줄 수 있는 것입니다.
무엇이 우리의 뇌 피로를 가중시키는 걸까요? 우리의 몸은 변화하는 외부 환경에 대응해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항상성을 지향합니다. 이 항상성을 관리하는 곳은 자율신경계로 감정과 행동을 조절하는 곳입니다. 이 자율신경계는 다시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으로 나뉘며, 교감 신경은 위급한 상황에 빠진 경우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즉 비상 상황이라고 판단된 경우 교감 신경이 활발해지면서 동공이 확장되고 심장 박동 수는 증가합니다.
또 혈관은 수축되며 위장 위장관 운동은 저하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부교감 신경은 위급한 상황에 대비해 에너지를 저장해 두는 역할을 합니다. 부교감 신경이 활발한 상태에서는 우리 몸에서 교감신경과 반대의 기능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교감신경이 혹사되면 시상하부와 진대 상회의 피로가 발생되고 뇌는 변연계를 통해 휴식이 필요하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뇌 피로의 신호를 받고도 피로감을 잘 감지하지 못하거나 피로를 느끼면서도 휴식을 계속해서 유예시킬 때, 우리의 뇌 특히 교감신경이 혹사당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가 지속될 경우 자율신경계에 이상이 올 수도 있으므로 뇌의 피로가 과도하게 축적되지 않게 그때그때 풀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짜 피로를 풀기 위해 뇌의 피로를 잘 풀어줄 수 있는 방법 3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첫째 유산소 운동과 근육 단련 운동을 꾸준히 하는 습관을 통해 몸과 자율신경계의 건강을 지킬 수 있습니다. 밤 11시부터 새벽 2시 사이에는 성장 호르몬이 가장 많이 분비되는 시간입니다. 성장호르몬은 피로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이 시간대에는 수면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의식적으로 복식호흡을 하는 습관은 자율신경계의 균형을 가져와 몸과 뇌가 건강해지는 데 도움을 줍니다.
둘째 규칙적으로 휴식시간을 만들어서 휴식하기입니다. 휴식시간도 없이 오랜 시간 일에 집중하는 것은 교감 신경을 활성화시키고 뇌 피로도를 높입니다. 장시간 일을 할 때에는 규칙적으로 휴식 시간을 갖도록 합니다. 아무리 즐거운 일도 똑같은 일이 반복되면 피로하기 쉽습니다. 또한 너무 오랫동안 같은 자세로 일을 할 경우 피로가 쌓일 수 있으니 자세를 바꿔주는 가벼운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셋째 새로운 자극을 줄 수 있는 운동과 시각 정보를 바꾸는 자연환경 사진 찍기입니다. 뇌는 새로운 자극 없이 같은 회로를 반복해서 사용하면, 쉽게 피로해지고 권태를 느끼게 됩니다. 이럴 때 새로운 자극을 줄 수 있는 해보지 않았던 운동을 하거나 가벼운 스릴을 느낄 만한 행동을 하는 것은 뇌를 건강하게 단련시킵니다. 과도한 스트레스의 업무 임박감은 뇌 피로를 가중시키지만 자기 주도에 적절한 시간 제한을 두고 하는 일은 효율성을 높이고 뇌도 좋은 자극으로 받아들입니다.
우리 뇌는 적절한 자극과 휴식이 반복될 때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재미있는 콘텐츠를 보기도 하고 낮잠도 자면서 시간을 보내는 것도 좋지만 적당한 운동과 새로운 환경을 접하는 활동으로 건강한 뇌를 만든다면 피로를 느끼지 않는 즐거운 생활을 하실 수 있으니 자신을 위한 시간을 만들어 보시길 바랍니다.
[ⓒ 맘스커리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