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2023년 10대 소비트렌드 키워드로 알아본 사회적경제⑤

엄지연 광명자치대학 사회적경제학과 학과장 / 2023-06-28 11:10:02

▲엄지연 광명자치대학 사회적경제학과 학과장
[맘스커리어=엄지연 광명자치대학 사회적경제학과 학과장] ‘트렌드 코리아’ 2023년 10대 키워드 중 다섯 번째 키워드 ‘뉴디맨드 전략’로 사회적경제 이야기를 풀어봅니다.

 

Irresistible! the ‘new demand stretegy’ _ 뉴디맨드 전략

아이폰을 내놓은 스티브 잡스는 말했다. ‘사람들은 자신이 뭘 원하는지 모른다.’ 소비자가 아예 생각지도 못한 제품을 내놓았을 때 그들은 줄을 서고 지갑을 연다. 사지 않고는 배길 수 없는 대체 불가능한 상품. 지금껏 써왔지만, 더 새롭고 매력적인 상품, 결제 방식이 유연한 상품 등 다채로운 뉴디맨드 전략을 만나보자.

 

 

장바구니 물가는 하루가 다르게 오르고, 코로나 이후로 지속되고 있는 경기 불황에 소비자도 기업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래서일까요, 짠테크 전성시대, ‘냉파(냉장고 파먹기)’의 유행 등 소비가 얼어붙는 ‘수요 종말의 시대’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여 소비자와 접점을 확대하고, 구매 욕구를 충족시켜 경제를 활성화해보고자 하는 ‘뉴맨디드’ 전략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현재 기업들은 생존을 위해 그리고 기업의 성장을 위해 저마다의 뉴디맨드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테슬라를 설립했을 때만 해도 전기차 시장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테슬라는 지속 가능하고 환경친화적인 운송수단을 찾고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전기차에 대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면서 기업을 성장시켰고, 전기차 대중화에 기여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뉴디맨드 전략의 성공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사회적경제도 뉴디맨드 전략을 사용하고 있을까요? 

 

물론, 사회적경제도 뉴디맨드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사회적경제의 첫 번째 뉴디맨드 전략은 ‘협업하기’입니다. 각기 다른 색깔을 가진 사회적경제 기업이 모여서 새로운 색깔을 만들어 내는 것, 그리고 이를 통해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대하는 것이 바로 사회적경제의 뉴디맨드 전략입니다. 광명시에 ㈜비유는 15개의 사회적경제 기업과 함께 공정여행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여러 사회적기업이 함께 만들어 가는 공정여행은 소비자에게 장소만 바뀌고 내용은 비슷한 기존 여행상품과는 달리 각 기업의 다양함을 통해 이전에 경험해 보지 못한 여행을 선사합니다. 또한 공정여행에 참여 기업들은 여행 참여 소비자를 대상으로 영업과 동시에 홍보를 할 수 있어 소비자와 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기회가 됩니다. 

 

사회적경제의 두 번째 뉴디맨드 전략은 ‘차별화’입니다. 요즘 사람들은 소비를 통해 자신의 가치관을 드러냅니다. 즉, 자신의 신념에 맞는 소비에 주목합니다. 그러다 보니 가격이나 실용성, 브랜드보다 기업의 운영방식과 신념 등을 고려해 소비하는 모습이 이전보다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렇게 변화하는 소비 추세에 맞게 기업을 운영한다면 소비자의 선택을 더 많이 받을 수 있겠죠. 예를 들어, 새것의 '새로움'이 아니라 익숙하거나 잊힌 것에 '새로움'을 부여하는 것이라는 철학으로 폐차된 자동차의 부자재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을 제작하는 ‘컨티뉴’, 장애인(障礙人)은 아무것도 못 하는 사람이 아니라 장애인(匠人)이라 말하는 ‘동구밭’ 등 우리 주변의 사회문제를 사회적경제 기업은 차별화된 전략으로 해결하고 있습니다.

 

시장에 의해 돌아가는 현 경제체계에서 상품을 판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의 가장 큰 고민 중의 하나는 ‘어떻게 고객들을 매료시킬 것인가’일 것입니다. 그래서 기업들은 과학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기술, 현존하는 것의 변형 등 다양한 뉴디맨드 전략을 고민하고, 현실화하고 있습니다. 사회적경제 기업들은 그들의 장점인 연대와 협력의 ‘협업화’, 남들과 다른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차별화’로 사회문제를 비즈니스로 해결하면서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뉴디맨드 전략으로 현재의 경제 위기를 극복해 나가고 있습니다.

 

내일을 준비하는 당신만의 뉴디맨드 전략이 있나요?

 

[ⓒ 맘스커리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엄지연 광명자치대학 사회적경제학과 학과장

엄지연 광명자치대학 사회적경제학과 학과장

경력보유여성을 위한 언론, 커리어+, 출산육아경제, 사회/문화, K클래스, 기획특집, 오피니언 기사제공

뉴스댓글 >

맘스커리어 후원안내

맘스커리어는 경력단절 없는 세상, 저출생 극복, 워라밸을 사명으로 이 땅의 '엄마'라는 이름이 최고의 스펙이 되는 세상, '엄마'라는 경력이 우대받는 세상을 만들어 가는 예비사회적기업 언론사입니다. 여러분들의 후원을 부탁드립니다.

우리은행 : 1005-004-582659

주식회사 맘스커리어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