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칼럼]어깨가 아프십니까?

김용석 경희대 한의과대학 주임교수 / 2021-12-16 10:00:49
김용석 경희대 한의과대학 주임교수

▲김용석 경희대 한의과대학 주임교수

 

[맘스커리어=김용석 경희대 한의과대학 주임교수] 어깨 통증은 허리 통증 다음으로 흔히 경험하게 되는 통증이지만 연령에 따라서 발생하는 원인이 다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대는 주로 어깨가 빠지는 어깨 불안정성, 30대에서 40대인 경우에는 골절이나 어깨를 회전시키는 근육의 부분 파열 그리고 50대 이후인 경우에는 오십견(五十肩)이라고 해서 동결견이 주로 나타나게 됩니다. 그러나 요즘은 50견이 아니라 40견이라는 말도 나올 정도입니다. 50대만 걸리는 어깨질환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오십견의 의학적 진단명은 유착성 관절낭염입니다. 어깨 관절을 감싸고 있는 관절낭에 염증이 생겨 유착이 되어 통증이 있고 잘 움직여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깨 관절을 지지하는 인대나 기타 구조물들이 딴딴하게 굳어가는 의미로 동결견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동결이라는 말은 얼어붙었다는 말입니다. 이 질환은 몇 가지 단계를 걸쳐 나타나게 되는데 얼음이 되었다가 녹는 과정이라고 이해하시면 쉬울 것 같습니다. 먼저 통증과 경직감이 심해지는 염증기와 결빙기(얼음이 얼려는 시기), 통증은 점차 감소되나 경직감과 움직임의 제한이 남아있는 동결기(얼음이 얼어붙은 시기), 어깨 움직임이 서서히 좋아지는 해동기(얼음이 녹는 시기)로 나뉩니다. 

 

오십견에 걸리게 되면 조금만 움직여도 통증이 심하기 때문에 대부분 잘 움직이지 않으려고 합니다. 그러나 사람은 2, 3주 이상 움직임을 제한하게 되면 관절이 굳어지게 되고 근육에 힘도 살도 빠지게 되므로 아파도 움직여 주어야 합니다. 그렇다고 오십견이 생기면 무조건 운동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어깨관절이 다 굳어져 있는데 무리하게 운동을 하게 되면 오히려 상처만 더 생기고 치료도 더 어려워지게 되므로 차근차근 단계적으로 관절을 풀어주어야 합니다. 

 

오십견에 좋은 운동은 어깨를 따뜻하게 하고 스트레칭이나 근력 강화 운동을 해주는 것입니다. 어깨를 따뜻하게 하는 방법은 뜨거운 물수건으로 온습포를 해주게 되는데 이때 물수건은 조금 지나면 식게 되므로 헤어드라이를 사용해서 뜨뜻하게 덥혀주게 되면 효과적입니다. 

 

맹물로 찜질하는 것보다는 물 한 컵 분량에 붉은 고추를 5개 정도 넣고 끓인 물을 가지고 찜질을 하시게 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끓인 물에 수건을 담가두었다가 수건으로 찜질을 하든, 끓인 물을 어깨 부위에 직접 바르고 찜질을 하든 어떤 방법으로 해도 괜찮습니다. 그러나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고추에는 통증을 완화해 주는 캡사이신 이라는 성분이 있기 때문에 자극이 너무 심하게 되면 피부가 발적(發赤)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따뜻한 물을 조금 타서 찜질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또한 어깨가 굽고 머리가 앞으로 나온 자세는 어깨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어깨는 항상 쭉 펴고 턱은 당기는 자세를 취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의자에 앉을 때나 운전할 때는 어깨가 굽어지지 않도록 등받이를 하는 것이 좋고, 팔걸이가 없는 의자에 앉는 것은 피하셔야 합니다. 컴퓨터 작업같이 고정된 자세로 장시간 일을 하게 될 경우에는 가능한 1시간마다 약 10분 정도 어깨나 목의 근육을 이완시켜 주기 위한 가벼운 체조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냉장고 위나 싱크대 밑의 물건을 무리하게 꺼내다가 어깨가 삐끗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특별히 주의하시고, 무거운 물건을 때나 아이를 안을 때도 한 쪽만 사용하지 마시고 양쪽을 번갈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오십견에 효과가 좋은 약재로는 주로 뭉친 근육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는 모과가 사용됩니다. 증상이 가벼울 경우에는 물 1사발 정도에 모과 20g과 계지 12g을 넣고 1시간 정도 끓인 다음에 차처럼 수시로 마시면 효과적입니다. 오십견에는 세월이 약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그러나 적극적으로 치료하지 않게 되면 1-2년 동안 고통스러운 나날을 보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영구적인 어깨 장애를 유발할 수도 있으니 초기에 적극적인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맘스커리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용석 경희대 한의과대학 주임교수

김용석 경희대 한의과대학 주임교수

경력보유여성을 위한 언론, 커리어+, 출산육아경제, 사회/문화, K클래스, 기획특집, 오피니언 기사제공

뉴스댓글 >

맘스커리어 후원안내

맘스커리어는 경력단절 없는 세상, 저출생 극복, 워라밸을 사명으로 이 땅의 '엄마'라는 이름이 최고의 스펙이 되는 세상, '엄마'라는 경력이 우대받는 세상을 만들어 가는 예비사회적기업 언론사입니다. 여러분들의 후원을 부탁드립니다.

우리은행 : 1005-004-582659

주식회사 맘스커리어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