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 교사들 과도한 업무 부담과 부작용 우려 [맘스커리어=김혜원 엄마기자] # 10세 아이를 양육하는 워킹맘 A씨는 자녀가 학교에 입학하며 집 근처 회사로 어렵게 이직했다. 아이가 하교하면 A씨도 점심시간을 활용해 함께 점심을 먹은 뒤 피아노교습소에 데려다준다. 이후 아이는 태권도에 갔다가 영어학원을 거쳐 A씨와 집에 돌아온다. A씨는 “아이를 온종일 학원 뺑뺑이 돌려 마음이 아프다”라며 “컨디션이 안 좋거나 몸이 아픈 날이면 아이를 혼자 집에 두고 내내 맘을 졸인다”라고 말했다. 이어 “늘봄학교가 있다는데 아직 아이의 학교에는 도입되지 않았다”라고 덧붙였다.
‘늘 봄처럼 따뜻한 학교’라는 의미를 지닌 ‘늘봄학교’는 학부모의 돌봄 부담을 줄여 주고 사교육비를 경감시키며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자 만든 정책이다. 초등생에게 오후 8시까지 방과후수업과 아침·저녁 돌봄을 제공하고 있다. 이런 늘봄학교가 내달부터 전국 459개 초등학교에서 운영된다. 1학기 5개 시도교육청 214개교였던 시범 운영 학교가 2배 이상 늘어나는 것이다. 교육청은 내년 1학기엔 전체 초등학교의 40%, 2학기부터는 전국 모든 초등학교에서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2학기는 1학기보다 3개 지역(부산, 충북, 충남)과 245개교가 늘었다. 기존 시범운영 중인 경기, 전남에서는 각각 74개교, 7개교가 추가 선정됐다.
새로 운영을 시작하게 된 부산교육청에서는 복지관, 수련원, 지역대학과 연계한 방과후학교를 운영하고 교육청이 구축한 방과후업무지원시스템을 통해 수강신청, 회계처리까지 단위학교 업무를 전폭적으로 지원한다. 다음 달부터는 야간긴급돌봄을 위한 ‘거점형 돌봄센터’를 운영하며 부산시와 협력해 2024년부터는 ‘24시간 돌봄센터’를 구축·운영한다.
충북교육청은 1~2학년 에듀케어 프로그램인 ‘꿈담교실’을 운영한다. 방과후 수업을 1과목을 수강하면 다른 강좌 수강료를 지원해 주는 1+1 정책을 통해 교육 기회를 제공해 준다. 지역의 우수 농촌교육농장을 활용한 친환경 방과후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충남교육청은 학교에 쉼과 놀이 중심의 에듀케어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아파트와 지자체 공간을 활용한 ‘동네방네 늘봄교실’을 운영한다. 한국예술종합학교 문화예술체육 강사 활용 수업, 에듀테크 활용한 온·오프라인 연계 방과후 수업을 진행하고 농업기술원과 협업을 통한 체험농장 등 대학·기업·전문기관과의 연계·협력도 강화한다.
교육부와 시범교육청은 늘봄 시범 운영을 위해 교육청 센터에 101명의 전담 공무원과 희망하는 학교에 기간제교사 328명, 행정인력 107명, 자원봉사자 216명 등 다양한 인력을 지원하고 총 300억 원의 특별교부금도 2학기에 추가 지원한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번 정부에서 늘봄학교를 시범 도입해 사교육비와 학부모 양육 부담을 대폭 경감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 교육격차도 해소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라며 “더욱 많은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당초 2025년에서 전국 확산 시기를 1년 앞당기는 방안을 시도교육청 등 관계기관과 협의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교육부가 내년부터 ‘늘봄학교’를 전면 도입하겠다고 나서자 교사들은 반발하고 있다. 학교 시설과 인력이 부족한데 무작정 늘봄학교를 확대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현직교사로 구성된 좋은교사운동은 성명을 통해 “기간제 교사와 자원봉사자 등 비정규직 인력 지원, 시범운영 초등학교의 업무 가중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라며 “지금 교육부가 할 일은 시범 운영 학교 교직원을 대상으로 문제 상황을 조사하고 해결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학교에 늘봄학교를 운영할 교실이 마땅치 않은 것도 문제다. 교육부는 지방자치단체, 민간기업 등과 협력해 추가 공간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거점형 늘봄도 더 늘린다는 방침이다. 여러 학교의 학생들이 거점형 늘봄센터에서 같이 시간을 보내게 되는 것이다. 교육청에서 직접 운영하며 셔틀버스도 운행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거점형 늘봄센터를 경남에서 시작해 전국으로 확산해 앞으로 5년간 매년 7곳씩 신축 예산을 지원할 것”이라며 “현재 127명인 늘봄지원센터 전담 공무원도 내년에 200명 이상 추가 확충하는 등 일선 교사들의 업무 부담을 줄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 맘스커리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